■ 불교식 부고문자에 자주 쓰이는 표현 해설

열반: 불교에서는 ‘사망’이라는 단어 대신 ‘열반에 드셨습니다’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
이건 고인이 육신의 고통에서 벗어나 참된 평화의 경지에 도달했다는 의미입니다
극락왕생: 고인이 불교의 정토, 즉 극락세계로 가기를 기원한다는 뜻입니다. 조의 인사로 “극락왕생하시길 빕니다”라고 표현합니다.
소천: 불교 외에도 쓰이긴 하지만, ‘하늘나라로 가셨다’는 뜻. 불교 부고문에서는 ‘열반’과 병행되기도 합니다.
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대신, 불교에서는 “극락왕생을 기원합니다”, **“덕을 기리며 추모합니다”**와 같은 말이 자연스럽습니다.
⸻
■ 불교식 부고문자 예시 (부모·조부모 상용, 복사용)
※ 아래 문구 중 원하는 것을 복사해서, 날짜·이름·빈소만 수정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⸻
[01]
저희 아버지께서 지난 (5월 25일) 열반에 드셨기에 삼가 알려드립니다.
• 발인: (5월 27일) 오전 8시
• 빈소: (서울○○병원 장례식장 3호실)
• 유족: 장남 (홍길동 010-0000-0000)
극락왕생을 기원해주시기 바랍니다.
⸻
[02]
부친 (홍길동)께서 불교 의례에 따라 (5월 26일) 열반에 드셨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8일) 오전 9시
• 빈소: (○○요양병원 장례식장 2층 6호실)
삼가 고인의 덕을 기리며 조용히 추모 부탁드립니다.
⸻
[03]
어머니께서 숙환으로 열반에 드셨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9일) 오전 10시
• 빈소: (○○의료원 장례식장 4호실)
• 장녀: (홍길자 010-0000-0000)
극락왕생하시길 함께 빌어주세요.
⸻
[04]
저희 조부 (홍판서)께서 지난 (5월 24일) 영면에 드셨습니다.
불교식으로 조용히 장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6일) 오전 7시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1호실)
유족을 대신해 조용한 기도 부탁드립니다.
⸻
[05]
외조모 (김말순)님께서 향년 92세로 열반에 드셨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7일) 오전 8시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2층 3호실)
삼가 고인의 극락왕생을 발원드립니다.
⸻
[06]
부고를 전해 드립니다.
저희 아버지께서 지난 (5월 25일) 열반에 드셨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8일 오전 9시)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5호실)
• 장남 (홍길동 010-0000-0000)
덕을 기리며 마음으로 추모해주시길 바랍니다.
⸻
[07]
조모께서 영면에 드셨습니다.
불교 의례에 따라 장례를 모시게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.
• 발인: (5월 30일) 오전 7시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2층 2호실)
⸻
[08]
저희 외할아버지께서 지난 (5월 24일) 열반에 드셨습니다.
장례는 불교식으로 조용히 치러질 예정입니다.
• 발인: (5월 26일 오전 9시)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1호실)
• 외손자: (홍길동 010-0000-0000)
⸻
[09]
삼가 부고를 전합니다.
어머님께서 열반에 드셨기에 알려드립니다.
• 발인: (5월 27일 오전 8시)
• 빈소: (○○요양병원 장례식장 1층 4호실)
조용히 기도 부탁드립니다.
⸻
[10]
저희 아버님께서 숙환으로 지난 (5월 25일) 열반에 드셨습니다.
극락왕생하시길 함께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.
• 발인: (5월 27일 오전 10시)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3층 2호실)
• 장남 (홍길동 010-0000-0000)
'장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독교식 부고문자에 자주 쓰이는 표현 및 해설 총정리 (0) | 2025.05.26 |
---|---|
부고문자 작성요령 과 예시문 복사해서 사용하세요 (0) | 2025.05.26 |
죽음을 알리는 방식의 변화, 부고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5.05.26 |
종교별 장례식 : 유교 및 다양한 종교의 장례 총정리 (2) | 2025.05.26 |
종교별 장례식 : 천주교식으로 치뤄지는 장례 정리해드립니다. (0) | 2025.05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