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장례정보

불교식 장례 부고 문자 : 복사해서 사용하세요.

by 코코-coco 2025. 5. 26.
반응형

■ 불교식 부고문자에 자주 쓰이는 표현 해설



열반: 불교에서는 ‘사망’이라는 단어 대신 ‘열반에 드셨습니다’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
이건 고인이 육신의 고통에서 벗어나 참된 평화의 경지에 도달했다는 의미입니다

극락왕생: 고인이 불교의 정토, 즉 극락세계로 가기를 기원한다는 뜻입니다. 조의 인사로 “극락왕생하시길 빕니다”라고 표현합니다.

소천: 불교 외에도 쓰이긴 하지만, ‘하늘나라로 가셨다’는 뜻. 불교 부고문에서는 ‘열반’과 병행되기도 합니다.

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대신, 불교에서는 “극락왕생을 기원합니다”, **“덕을 기리며 추모합니다”**와 같은 말이 자연스럽습니다.



■ 불교식 부고문자 예시 (부모·조부모 상용, 복사용)

※ 아래 문구 중 원하는 것을 복사해서, 날짜·이름·빈소만 수정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

[01]

저희 아버지께서 지난 (5월 25일) 열반에 드셨기에 삼가 알려드립니다.
• 발인: (5월 27일) 오전 8시
• 빈소: (서울○○병원 장례식장 3호실)
• 유족: 장남 (홍길동 010-0000-0000)
극락왕생을 기원해주시기 바랍니다.



[02]

부친 (홍길동)께서 불교 의례에 따라 (5월 26일) 열반에 드셨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8일) 오전 9시
• 빈소: (○○요양병원 장례식장 2층 6호실)
삼가 고인의 덕을 기리며 조용히 추모 부탁드립니다.



[03]

어머니께서 숙환으로 열반에 드셨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9일) 오전 10시
• 빈소: (○○의료원 장례식장 4호실)
• 장녀: (홍길자 010-0000-0000)
극락왕생하시길 함께 빌어주세요.



[04]

저희 조부 (홍판서)께서 지난 (5월 24일) 영면에 드셨습니다.
불교식으로 조용히 장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6일) 오전 7시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1호실)
유족을 대신해 조용한 기도 부탁드립니다.



[05]

외조모 (김말순)님께서 향년 92세로 열반에 드셨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7일) 오전 8시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2층 3호실)
삼가 고인의 극락왕생을 발원드립니다.



[06]

부고를 전해 드립니다.
저희 아버지께서 지난 (5월 25일) 열반에 드셨습니다.
• 발인: (5월 28일 오전 9시)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5호실)
• 장남 (홍길동 010-0000-0000)
덕을 기리며 마음으로 추모해주시길 바랍니다.



[07]

조모께서 영면에 드셨습니다.
불교 의례에 따라 장례를 모시게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.
• 발인: (5월 30일) 오전 7시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2층 2호실)



[08]

저희 외할아버지께서 지난 (5월 24일) 열반에 드셨습니다.
장례는 불교식으로 조용히 치러질 예정입니다.
• 발인: (5월 26일 오전 9시)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1호실)
• 외손자: (홍길동 010-0000-0000)



[09]

삼가 부고를 전합니다.
어머님께서 열반에 드셨기에 알려드립니다.
• 발인: (5월 27일 오전 8시)
• 빈소: (○○요양병원 장례식장 1층 4호실)
조용히 기도 부탁드립니다.



[10]

저희 아버님께서 숙환으로 지난 (5월 25일) 열반에 드셨습니다.
극락왕생하시길 함께 기도해주시기 바랍니다.
• 발인: (5월 27일 오전 10시)
• 빈소: (○○병원 장례식장 3층 2호실)
• 장남 (홍길동 010-0000-0000)

반응형